분당차병원 비용종(코물혹)수술 후기.

물혹은 재발률이 70-80% 정도로 높아 주기적으로 상태를 업데이트 할 예정 입니다. - 수술후 2개월. 태어나서 이렇게 양쪽 코로 숨 쉬는 건 처음. 보통 사람들은 이렇게 살았구나 싶습니다. 뭔가 억울한 느낌이...  코가 뚫리니 발음하기 좋아졌고, 비음과 약간 울리는 배음이 많아졌습니다. 본인이 느끼기에는 소리가 많이 달라졌는데, 다른 사람들은 큰 차이 없다는 반응입니다. 수술 전에는 코가 민감해 약간의(먼지, 온도 등) 자극으로도 콧물, 코막힘이 있었는데 이 증상이 없어졌습니다. 아마 물혹 제거로 인해 코안의 점막의 면적이 줄어들어 민감도가 떨어져서 그런 걸로 추측합니다. ///////////////////////////////////////// - 진행. 진료 - CT예약 - 진료 - 수술예약 - 수술전검사 - 입원-수술 - 다음날 퇴원 - 일주일뒤 외래 - 일주일뒤 외래 - 2주일뒤 외래로 종료. 2박3일 입원 후 2일째 수술후 다음날 오전 퇴원. - 증상. 코물혹이 양쪽 코를 막아 숨을 셔도 숨이 참. 코가 물리적으로 막혔다는 느낌. - CT촬영이후. 양쪽 코 물혹 만 제거 하기로 했습니다.  육안으로 봤을때 코가 휘었다고 했지만 CT상으로 코뼈가 반듯했습니다. 아마 물혹으로 휘거나, 구조적으로 다른 이유로 약간 흰거 같습니다. 그래서 주로 같이 하는 비중격만곡증, 하비갑개절제술 은 안했습니다. 뼈를 건드리는 수술은 비가역적(뒤돌릴수 없어)이라 걱정했는데 건드릴 필요가 없어 안심했습니다. 수술 결정 후 예약 업무 보시는 분과 예약을 합니다. 커다란 바인더 북을 펼치며 빈 날짜를 찾아 예약 했습니다. 4달 이후 일정으로 잡았는데 빈 일정이 있어 2달만에 수술을 받았습니다. 여름이라 온도와 습도가 수술 후 관리에 좋을 거 같았습니다. - 수술. 담당교수의 수술 날짜에 8명 정도 있었고 넉넉하게 시간을 잡아 얘기했으나 실제로는 더 빨리 수술을 하게 되었음. 기술자의 특성 상 혹시 모를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시간을 넉넉하게 잡아 얘기해 주는...

LuxPDF - pdf 변환, 분할, 합치기 툴.

https://github.com/VSRemoter/LuxPDF 1. 위의 페이지를 열고 Code ->  Download ZIP 을 눌러 다운로드 받는다. 혹은  Download ZIP  이 링크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2. 압축을 푼다. 3. 2가지 방법으로 실행할 수 있다. - html 파일을 웹브라우저에서 직접 실행. 간단하지만 이 경우 다른 pdf툴을 열수 없다.  - 간이 http 서버로 실행. ///////////////////////////////////////////////////////// - html 파일을 웹브라우저에서 직접 실행. 4. 압축을 푼 폴더에 아래와 같은 파일을 직접 찾아 브라우저에 열어 사용하면 된다. pdf-to-png.html merge-pdf.html split-pdf.html ///////////////////////////////////////////////////////// - 간이 http 서버로 실행. 4. 압축을 푼 폴더에(index.html 파일이 있는 폴더에)  아래 내용으로 run.bat 파일을 만든다. @echo off REM ========================================== REM Python HTTP 서버 실행 & 브라우저 자동 열기 REM ========================================== REM 현재 bat 파일이 있는 경로로 이동 cd /d %~dp0 REM 8000 포트에서 서버 실행 start "" python -m http.server 8000 REM 잠시 대기 (서버가 켜지기 전에 브라우저 열리면 오류날 수 있어서 2초 대기) timeout /t 2 >nul REM 기본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8000 열기 start http://localhost:8000 5. 파이썬을 설치한다. https://www.python.org/ 6. run.bat 을 실행한다...

병원에서 부작용을 겪고 해결을 위한 나의 기록.

얼마 전 간단한 수술을 받고 부작용을 겪었습니다. 환자부터 의료진까지 총체적 문제가 있었습니다. 다음에 이런 일을 겪으면 어떻게 해결할 지 방법을 생각해 보는 글 입니다. - 증상과 진행. 수술 후 입원실 이동. 20분 경과 - 초기 극심한 고통이 있었으나 약 20분 후부터는 고통도 잦아들어 거의 없고 보행 등 일상생활에 지장 없는 컨디션으로 돌아왔습니다. 화장실도 혼자 갔다오고 문자도 했습니다. 10분 경과 - 각종 약을(진통제, 지혈제, (소염제 or 항생제)) 링겔로 투약 받았습니다. 30분 경과 - 심한 어지러움, 식은땀 증상이 났습니다. 담당 간호사에게 말했지만 그냥 지나쳤습니다. 이런일이 자주 있는 일은 아닌지 어떻게 대처할지 멍때리는 느낌이었습니다. 2-3시간 경과 -  담당의사 회진후 진통제 때문이지 않을까 한다는 의견에 이후 진통제는 투약 받지 않았습니다. 입원실로 이동후 20분 정도가 지난후 부터는 고통이 없었기 때문에, 제가 진통제가 필요할 때 말씀드린다고 하고 이후 진통제는 투약 받지 않았고, 고통은 없었습니다. 저녁을 먹고 약을 먹어야 한다는 간호사의 말에 저녁을 3-4숟가락 정도 먹고 약을 먹었습니다. 새벽 12~4시쯤까지 구토를 3-4회 정도 했습니다. 속이 안 좋은 증상은 이후 없어졌습니다. 이후 당일 퇴원시까지 식사를 하지 않았습니다. 퇴원직전 의사진료시 마취제 때문은 아닐까 하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퇴원후 집에 귀가한 후 이온음료 페트병 2개정도 먹고 화장실을 몇 회 간 후로 약간 호전이 있었습니다. 이후 저녁식사를 죽으로 먹을 수 있었습니다. 3-4일 정도 심한 어지러움. 이후 경미한 어지러움이 2주 정도. - 아쉬웠던 점. 투약이후 30분 정도에 어지러움, 식은땀 증상이 있을 때 바로 투약을 중지했어야 합니다. 30분만에 증상이 있음으로 링겔로 인한 부작용임이 거의 확실하니 일단 투약을 중지해 상태를 회복하고 링겔의 속도, 약품 교체 등을 고려했어야 합니다. 저도 처음 겪는 일이라 어버버했고, 자주 있는 일이 아니라 ...

핸드폰 개통 제한 방법.

https://msafer.or.kr/notice/detail.do?serial=1194  1. PC 이용 방법 ■ 명의도용방지서비스 홈페이지 ▷ 공동인증서 로그인(본인인증) ▷ 서비스 바로가기 2. 모바일앱 이용 방법 ■ 모바일 'PASS앱' 이용하기 : - 휴대폰 단말기에서 ‘PASS앱’ 클릭 ▷ 전체 ▷ ‘명의도용방지서비스’ 클릭 * 이용약관 동의, 본인인증 및 고유식별정보 입력후 서비스 이용 가능 ■ 모바일 '카카오뱅크앱' 이용하기 : - 휴대폰 단말기에서 ‘카카오뱅크앱’ 클릭 ▷ 전체 ▷ 인증/보안 ▷ ‘명의도용방지서비스’ 클릭 * 이용약관 동의, 본인인증 및 고유식별정보 입력후 서비스 이용 가능 3. 오프라인(통신사 매장 방문) 방법 * 온라인(PC) 또는 모바일엡에서 이동전화 가입제한 서비스를 이용하시기 불편하신 분들은 통신사의 명의도용신고접수처(지점,직영점,플라자)에 내방(신분증 지참)하여 신청 할 수 있습니다. ■ 가입제한: - 이동통신사 지점(직영점, 플라자) 중 1곳만 방문하셔도 [일괄 이동전화 가입제한]으로 가입제한 신청 가능 ■ 가입제한 해제: - 가입제한을 해제하려는 통신사 지점에 방문하여 해제 신청 가능(위치는 각 사 고객센터로 문의해주십시요)

필립스 서지 보호 멀티탭(CHP6740WA/61) 사용기.

이미지
컴퓨터 멀티탭의 대기전력이 70W 정도 되서 사용하지 않을때 멀티탭으로 전원을 차단합니다. 스위치를 온오프할 때 지직 거리거나 퍽 소리가 날 때가 있는데 얼마 전 마우스가 고장나서 서지보호 멀티탭을 사용합니다. 사용하니 스위치를 온오프할 때 나는 소리가 많이 줄었습니다.  효과는 있는거 같습니다. 호기김에 열어 봤는데 몇백원짜리 바리스터 하나 박아 놓은거 같네요. 이러고 2-3배 가격을 받는데 폭리 같습니다. 이정도 회로 구성이면 유통되는 모든 멀티탭에 포함하도록 강제화 하면 좋을거 같네요.  하나더 필요하다면 EMI, 서지보호가 되는 회로를 사서 만들어야 겠습니다.

샤오신 패드 12.7 2025 사용기, 충전기에 대해.

이미지
샤오신 패드 12.7 2025 사용 후기 가격 및 구성 직구 가격: 본체 185,000원, 펜 22,000원 (총 207,000원) 장점 - 품질 가격을 떠나서 전체적으로 마감과 외관이 매우 우수합니다. - 성능 아이패드 2024 에어 13 M2와 비교해 인터넷 서핑, 유튜브 시청 등 일상적인 사용에서는 체감 성 능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단점 - 반글화 문제 반글화 처리가 번거롭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시 다시 원상복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글로벌 롬 을 올리고 업데이트를 막는 방법도 있지만, 이 역시 번거롭습니다. - 화면 비율 16:10 화면비라서, 좀 더 정사각형에 가까웠으면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 충전 방식 충전이 다소 까다롭습니다. 글로 썼더니 복잡해서 정리해 봤습니다. 충전규격 충전기에 표시된 글자 충전 가능 여부 PPS PPS DC 5~11V 4.5A   충전 가능. 구형충전기 5V 2A (2A의 숫자는 충전기에 따라 다르며, 높을수록 충전 빠름.)   충전 가능. PD, QC 5V 3A, 9V 5A, 12V 3A (한꺼번에 여러가지 표시)   충전회로에 따라 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음. 하지만 확실한건 USB-C 전류 테스터로 충전 상태를 확인해 봐야 압니다.  케이블이 문제일 수도 있으니 아래 케이블 항목을 보세요. -- PPS(Programmable Power Supply) 규격: DC 511V 4.5A로 충전해야 하며, 현재 이 규격을 지 원하는 충전기와 케이블이 많지 않습니다. -- 호환성 문제. 충전기나 케이블의 보호회로가 맞지 않으면 충전기가 리셋되거나, 30W약 3A 이상 전 류를 요구할 때 0W로 떨어지며 충전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충전기는 정상인데 케이블이 문제이거나, 반대의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게 충전기와 케이블의 보호회로가 작동해 충전이 안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충전 안된다고 망가졌다는 후기가 보였는데 아마 이런 경우 일 겁니다. -- PPS는 아니지만 되는 충...

msi Modern b5m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