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에서 부작용을 겪고 해결을 위한 나의 기록.

얼마 전 간단한 수술을 받고 부작용을 겪었습니다. 환자부터 의료진까지 총체적 문제가 있었습니다. 다음에 이런 일을 겪으면 어떻게 해결할 지 방법을 생각해 보는 글 입니다. - 증상과 진행. 수술 후 입원실 이동. 20분 경과 - 초기 극심한 고통이 있었으나 약 20분 후부터는 고통도 잦아들어 거의 없고 보행 등 일상생활에 지장 없는 컨디션으로 돌아왔습니다. 화장실도 혼자 갔다오고 문자도 했습니다. 10분 경과 - 각종 약을(진통제, 지혈제, (소염제 or 항생제)) 링겔로 투약 받았습니다. 30분 경과 - 심한 어지러움, 식은땀 증상이 났습니다. 담당 간호사에게 말했지만 그냥 지나쳤습니다. 이런일이 자주 있는 일은 아닌지 어떻게 대처할지 멍때리는 느낌이었습니다. 2-3시간 경과 -  담당의사 회진후 진통제 때문이지 않을까 한다는 의견에 이후 진통제는 투약 받지 않았습니다. 입원실로 이동후 20분 정도가 지난후 부터는 고통이 없었기 때문에, 제가 진통제가 필요할 때 말씀드린다고 하고 이후 진통제는 투약 받지 않았고, 고통은 없었습니다. 저녁을 먹고 약을 먹어야 한다는 간호사의 말에 저녁을 3-4숟가락 정도 먹고 약을 먹었습니다. 새벽 12~4시쯤까지 구토를 3-4회 정도 했습니다. 속이 안 좋은 증상은 이후 없어졌습니다. 이후 당일 퇴원시까지 식사를 하지 않았습니다. 퇴원직전 의사진료시 마취제 때문은 아닐까 하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퇴원후 집에 귀가한 후 이온음료 페트병 2개정도 먹고 화장실을 몇 회 간 후로 약간 호전이 있었습니다. 이후 저녁식사를 죽으로 먹을 수 있었습니다. 3-4일 정도 심한 어지러움. 이후 경미한 어지러움이 2주 정도. - 아쉬웠던 점. 투약이후 30분 정도에 어지러움, 식은땀 증상이 있을 때 바로 투약을 중지했어야 합니다. 30분만에 증상이 있음으로 링겔로 인한 부작용임이 거의 확실하니 일단 투약을 중지해 상태를 회복하고 링겔의 속도, 약품 교체 등을 고려했어야 합니다. 저도 처음 겪는 일이라 어버버했고, 자주 있는 일이 아니라 ...

핸드폰 개통 제한 방법.

https://msafer.or.kr/notice/detail.do?serial=1194  1. PC 이용 방법 ■ 명의도용방지서비스 홈페이지 ▷ 공동인증서 로그인(본인인증) ▷ 서비스 바로가기 2. 모바일앱 이용 방법 ■ 모바일 'PASS앱' 이용하기 : - 휴대폰 단말기에서 ‘PASS앱’ 클릭 ▷ 전체 ▷ ‘명의도용방지서비스’ 클릭 * 이용약관 동의, 본인인증 및 고유식별정보 입력후 서비스 이용 가능 ■ 모바일 '카카오뱅크앱' 이용하기 : - 휴대폰 단말기에서 ‘카카오뱅크앱’ 클릭 ▷ 전체 ▷ 인증/보안 ▷ ‘명의도용방지서비스’ 클릭 * 이용약관 동의, 본인인증 및 고유식별정보 입력후 서비스 이용 가능 3. 오프라인(통신사 매장 방문) 방법 * 온라인(PC) 또는 모바일엡에서 이동전화 가입제한 서비스를 이용하시기 불편하신 분들은 통신사의 명의도용신고접수처(지점,직영점,플라자)에 내방(신분증 지참)하여 신청 할 수 있습니다. ■ 가입제한: - 이동통신사 지점(직영점, 플라자) 중 1곳만 방문하셔도 [일괄 이동전화 가입제한]으로 가입제한 신청 가능 ■ 가입제한 해제: - 가입제한을 해제하려는 통신사 지점에 방문하여 해제 신청 가능(위치는 각 사 고객센터로 문의해주십시요)

필립스 서지 보호 멀티탭(CHP6740WA/61) 사용기.

이미지
컴퓨터 멀티탭의 대기전력이 70W 정도 되서 사용하지 않을때 멀티탭으로 전원을 차단합니다. 스위치를 온오프할 때 지직 거리거나 퍽 소리가 날 때가 있는데 얼마 전 마우스가 고장나서 서지보호 멀티탭을 사용합니다. 사용하니 스위치를 온오프할 때 나는 소리가 많이 줄었습니다.  효과는 있는거 같습니다. 호기김에 열어 봤는데 몇백원짜리 바리스터 하나 박아 놓은거 같네요. 이러고 2-3배 가격을 받는데 폭리 같습니다. 이정도 회로 구성이면 유통되는 모든 멀티탭에 포함하도록 강제화 하면 좋을거 같네요.  하나더 필요하다면 EMI, 서지보호가 되는 회로를 사서 만들어야 겠습니다.

샤오신 패드 12.7 2025 사용기, 충전기에 대해.

이미지
샤오신 패드 12.7 2025 사용 후기 가격 및 구성 직구 가격: 본체 185,000원, 펜 22,000원 (총 207,000원) 장점 - 품질 가격을 떠나서 전체적으로 마감과 외관이 매우 우수합니다. - 성능 아이패드 2024 에어 13 M2와 비교해 인터넷 서핑, 유튜브 시청 등 일상적인 사용에서는 체감 성 능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단점 - 반글화 문제 반글화 처리가 번거롭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시 다시 원상복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글로벌 롬 을 올리고 업데이트를 막는 방법도 있지만, 이 역시 번거롭습니다. - 화면 비율 16:10 화면비라서, 좀 더 정사각형에 가까웠으면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 충전 방식 충전이 다소 까다롭습니다. 글로 썼더니 복잡해서 정리해 봤습니다. 충전규격 충전기에 표시된 글자 충전 가능 여부 PPS PPS DC 5~11V 4.5A 충전 가능. 구형충전기 5V 2A (2A의 숫자는 충전기에 따라 다르며, 높을수록 충전 빠름.) 충전 가능. PD, QC 5V 3A, 9V 5A, 12V 3A (이렇게 여러가지 표시) 충전회로에 따라 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음. 하지만 확실한건 USB-C 전류 테스터로 충전 상태를 확인해 봐야 압니다.  케이블이 문제일수도 있으니 아래 케이블 항목을 보세요. -- PPS(Programmable Power Supply) 규격: DC 511V 4.5A로 충전해야 하며, 현재 이 규격을 지 원하는 충전기와 케이블이 많지 않습니다. -- 호환성 문제. 충전기나 케이블의 보호회로가 맞지 않으면 충전기가 리셋되거나, 30W약 3A 이상 전 류를 요구할 때 0W로 떨어지며 충전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충전기는 정상인데 케이블이 문제이거나, 반대의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게 충전기와 케이블의 보호회로가 작동해 충전이 안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충전 안된다고 망가졌다는 후기가 보였는데 아마 이런 경우 일 겁니다. -- PPS는 아니지만 되는 충전기  충전 리셋되지 않고 충전기...

msi Modern b5m

이미지

레노버 씽크북 Lenovo ThinkBook 16arp g7 r5 노트북

이미지
메모리, ssd, wifi 업그레이드 후 사진 입니다.  확장성 넓습니다. (메모리슬롯 2개, m.2 슬롯 2개) 외장 모니터 3개 지원합니다. (usb-c 2개, hdmi 1개) 본체까지 모니터 4개 동시 출력합니다. (이게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

윈도우11 바탕화면 폴더가 OneDrive 폴더에 생겼을때 뒤돌리는 방법.

방법. - 탐색기에서 C:\Users\<username>\OneDrive\바탕 화면 경로로 이동합니다. - 바탕 화면 폴더를 우클릭하고 속성(R)을 클릭합니다. - 상단 탭 중 [위치] 탭을 클릭합니다. - 아래쪽에 있는 [기본값 복원(R)] 버튼을 클릭합니다. 문제. 윈도우 11을 설치했습니다. 원드라이브 폴더에 바탕화면 폴더가 생기는 문제가 있습니다. 예)  C:\Users\ddd\OneDrive\바탕 화면 이걸 다시 아래와 같은 폴더로 옮기는 방법입니다. C:\Users\ddd\Desktop